인간 생활의 진화를 이끈 PC 의 역사

개인용 컴퓨터의 탄생

turturmack 2025. 8. 3. 14:33

1. 서론: 퍼스널 컴퓨터, 우리 삶을 바꾸다

오늘날 우리는 데스크탑, 노트북, 심지어 스마트폰처럼 고성능 컴퓨팅 장비를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컴퓨터는 국가나 대기업만 소유할 수 있는 거대한 기계였습니다.

그렇다면, '개인용 컴퓨터(PC)'는 언제부터 일반 사람들의 삶 속에 들어오기 시작했을까요?
그 시작은 1970년대 중반, 불과 5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2. 1970년대: 퍼스널 컴퓨터의 태동기

개인용 컴퓨터의 탄생

💡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 Altair 8800 (1975)

1975년 미국의 MITS(Micro Instrumentation and Telemetry Systems)사는 Altair 8800이라는 키트를 출시했습니다.
가격은 약 400달러로 비교적 저렴했지만, 이 컴퓨터에는 화면, 키보드, 저장장치도 없고, 사용자는 스위치를 눌러 명령을 입력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 제품은 **"개인용 컴퓨터의 시대를 연 첫걸음"**으로 평가받습니다.

💡 빌 게이츠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시작

빌 게이츠와 폴 앨런은 Altair용 BASIC 언어 인터프리터를 개발하며 마이크로소프트를 설립합니다. 이 사건은 소프트웨어 산업의 시발점으로 여겨집니다.


3. 1980년대: 퍼스널 컴퓨터의 대중화

🖥️ 애플 II (1977) – 본격적인 대중용 PC

애플 II는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이 만든 최초의 상업적 성공을 거둔 개인용 컴퓨터입니다.
이 컴퓨터는 컬러 그래픽, 키보드, 디스켓 드라이브 지원 등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기능을 탑재했고,
교육용, 게임용, 가정용으로 널리 퍼졌습니다.

🖥️ IBM PC (1981) – 산업 표준의 시작

IBM은 1981년 IBM 5150 PC를 출시하며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했습니다.
DOS 운영체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했고, 하드웨어 사양은 비교적 개방적이었기 때문에
수많은 호환 제품(“IBM 호환기종”)이 쏟아져 나오게 됩니다.

이 시기에 등장한 대표적 컴퓨터들:

모델명                                            출시년도         특징
Commodore PET 1977 교육기관 중심으로 보급, 텍스트 기반 UI
Tandy TRS-80 1977 저렴한 가격으로 가정용 시장 공략
Apple Lisa 1983 GUI 기반 운영체제 최초 탑재, 가격은 비쌌음
Macintosh 128K 1984 마우스+GUI 최초의 성공 사례, 광고로 유명
 

4. 개인용 컴퓨터의 활용 사례: 1980~90년대의 변화

🎮 1. 가정에서의 활용 – 게임과 교육

많은 가정에서는 PC를 게임용 콘솔처럼 활용했습니다.
예: 애플 II에서 실행된 ‘Oregon Trail’, IBM PC의 ‘왕자의 복수’(Prince of Persia) 등
또한, 디지털 학습 소프트웨어도 인기였는데, 타자 연습 프로그램이나 수학 게임 등이 대표적입니다.

📊 2. 사무실에서의 활용 – 워드프로세서와 스프레드시트

IBM PC와 MS-DOS 기반의 Lotus 1-2-3(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WordPerfect(워드 프로세서) 등은
기업 내 문서 작업을 전산화하면서 사무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때부터 컴퓨터는 ‘업무 생산성 도구’로 자리잡기 시작합니다.

🎨 3. 예술과 창작 – 그래픽과 음악

Macintosh 등장 이후 GUI와 마우스를 이용한 그래픽 소프트웨어도 발전합니다.
예: MacPaint, MacDraw
음악에서는 Commodore 64와 같은 컴퓨터가 사운드 생성이나 미디 장비와 연결되어 창작에 사용되었습니다.


5. 기술적 대전환: PC의 진짜 대중화는 언제?

💥 전환점 1: 윈도우 95의 등장 (1995)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95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플러그앤플레이, 시작 메뉴 등
현대적인 운영체제의 모습을 갖춘 최초의 OS로 평가받습니다.
이때부터 일반인도 마우스 클릭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진정한 대중화가 이뤄졌습니다.

💥 전환점 2: 인터넷과 웹브라우저의 확산

1990년대 중반 Netscape Navigator, Internet Explorer 등이 등장하며
인터넷은 정보 검색, 이메일, 커뮤니케이션, 쇼핑 등 일상 활동의 중심이 됩니다.


6. 그 이후의 발전: 2000년대 ~ 현재

  • 노트북의 대중화: 컴퓨터가 이동 가능해짐
  • 스마트폰, 태블릿 등장: PC의 기능을 모바일에서 구현
  • 클라우드 컴퓨팅: 저장장치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작업 가능
  • AI, 머신러닝 통합: 개인용 컴퓨터의 새로운 역할 부상

7. 결론: 퍼스널 컴퓨터, 50년간의 여정

1970년대에는 수많은 선구자들이 키트형 컴퓨터로 꿈을 꾸기 시작했습니다.
1980~90년대에는 애플, IBM, 마이크로소프트가 컴퓨터를 일상과 업무의 중심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컴퓨터는 지금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디지털 생활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퍼스널 컴퓨터의 발전은 기술의 혁신뿐 아니라, 인간 삶의 방식 자체를 바꾸어놓은 위대한 전환점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역사는 지금도 계속 쓰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