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게임의 역사

1970년대의 온라인 게임. 동굴을 탐험한다

turturmack 2025. 8. 10. 11:22

1. 터미널 RPG의 뿌리 — PLATO 시스템과 Oubliette

      • 1970년대 미국 대학들은 PLATO 시스템이나 PDP-10과 같은 메인프레임 기반 터미널 RPG를 즐겼습니다.
      • 이 당시 이미 존재했던 보드 게임을 터미널 컴퓨터에서 구현 하려는 노력은 여러 사람/단체들이 시도 해 왔었고, 완성도 높고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받은 몇몇의 게임이 등장하게 됩니다.
      • 특히 Oubliette (1977)는 여러 명이 동시에 플레이하는 멀티유저 던전 RPG였고, 15개 종족과 15개 직업, 던전, 상점, 도박장, 소환 시스템 등 많은 게임 메커니즘을 구현했습니다.
      • 이러한 게임들은 업데이트와 당시 의욕에 찬 개발자들에 의해 진화하여 PC 에서 혁명적인 게임 Wizardry 가 등장하게 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2. 대표적 게임

      • Oubliette (1977) 
        • 첫화면은 PLATO 터미널의 특징적인 황토색 텍스트와 와이어프레임 던전 뷰를 사용했습니다. 텍스트 기반의 캐릭터 정보, 커맨드 입력창이 함께 배치되어 있습니다. 
        • 던전 내의 행동 UI는 1인칭 시점으로, 플레이어의 위치와 주위 환경을 간단한 기호로 표현합니다. 
    •  
      oubliette

      •  PEDIT5 (1975) 
        • 화면 레이아웃은 사실 최고 해상도는 아니지만, 던전 맵(2D 오버헤드 뷰)과 캐릭터 정보창이 함께 표시되는 구조입니다. 
        • 전투 시 선택지를 키보드로 입력하고, 그 결과를 한 번에 처리한 뒤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습니다.

3. 기능 비교표 (Oubliette vs PEDIT5)

    • 항목         Oubliette (PLATO)                       PEDIT5 / The Dungeon (PLATO)
      출시연도/저자 1977, Jim Schwaiger 등(PLATO) 1975, Rusty Rutherford (PLATO)
      마법(Spell) 매우 정교한 마법 체계. 다단계(레벨 기반) 스펠과 고유 문법(음절 구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주문 효과 보유. (공격·치유·텔레포트 등)  기본적 전투 기술·주문 존재. 단순한 공격계·방어계 스킬 위주. 초기작이라 기능은 단순. 
      종족/직업(Race/Class) 광범위한 종족·직업 목록 제공. 각 클래스별로 장비 착용 제한 등 복잡한 규칙 존재(플레이 전략성 큼).  기본적 직업·능력치 기반. 초기 CRPG의 ‘캐릭터 생성’ 기초 제공 (종족 목록은 비교적 단순). 
      상점(Shop) 사회적·경제적 시스템 일부 포함: 마을/상점 요소가 있고, 아이템 거래·상점 이용이 가능(멀티유저 환경에서 경제 활동 확장).  기본적 보물·상자·전리품 위주. 전통적 상점 인터페이스는 제한적. 데이터 구조상 상점이 간단한 경우가 많음. 
      멀티플레이 멀티유저 지향 — PLATO의 네트워크 기능을 적극 활용. 타인과 만남, 타번(여관)에서 파티 구성, 협동 탐험 가능. (사회적 요소 강함)  기본적으로 싱글플레이 중심이나, PLATO 시스템에 따라 동시 접속자의 랭킹·기록 공유 등 가능. 전통적 의미의 실시간 파티 플레이는 제한적. 

       Oubliette는 PLATO의 ‘네트워크·커뮤니티’ 특성을 적극 활용해 다층적 시스템(풍부한 마법·종족·상점·멀티플레이)을 구현한 반면, PEDIT5는 ‘던전 탐험’이라는 핵심 메커니즘에 집중한 초기작입니다. 두 작품 모두 Wizardry 등 후대 작품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Oubliette는 기능적으로 더 ‘완전한’ RPG 체계를 갖췄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PLATO RPG의 역사적 맥락 및 연속성

    • PEDIT5는 1975년 Rusty Rutherford가 만든 초기 CRPG 중 하나로, 제한된 메모리 환경에서 구현된 최초의 던전 크롤러 중 하나입니다. D&D의 핵심 메커니즘을 충실히 재현: HP, 레벨, 무작위 몬스터·전리품, 전투 선택 기능 등. 
    • 이후 “dnd”는 PEDIT5의 개선형으로, 맵 편집 기능과 보스 몬스터 도입, 피로도 시스템 등을 추가해 발전시켰습니다. 
    • ** Oubliette**는 Moria, dnd의 확장형으로, 멀티플레이 RPG의 선구자입니다. 판타지 종족/클래스 시스템, 경제 및 사회 시스템, 정밀한 마법 체계 등 많은 현대 RPG 설계의 원형을 구현했습니다.  
    • PLATO 시절 RPG들은 상업화 이전의 실험적, 네트워크 중심의 디자인을 보여주며, Wizardry 등 이후 CRPG 발전에 핵심적인 기반을 제공합니다. 
    • Oubliette와 PEDIT5는 단순히 “옛날 게임”이 아닙니다.
      이는 컴퓨터 RPG 장르의 태동기, 특히 멀티플레이와 복잡 시스템을 갖춘 미래 지향적 설계의 실험적 결과물입니다. Wizardry와 후대 CRPG는 이 구조의 상업적 변주와 대중화를 이룬 직접적 후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