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 23

작곡자 AI : 음악에서의 AI 현황, 당면한 문제들

1. AI 음악 생성의 현황AI는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음악의 패턴(리듬, 화성, 멜로디, 편곡 등)을 학습해 새로운 음악을 만듭니다. 현재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OpenAI Jukebox다양한 장르와 아티스트 스타일을 학습하여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내는 AI 모델. 심지어 특정 가수의 목소리처럼 들리도록 합성도 가능.AIVA (Artificial Intelligence Virtual Artist)클래식, 영화 음악, 게임 음악 제작에 특화된 AI 작곡 툴. 일부 제작자들이 실제 프로젝트에 사용.Amper Music사용자가 장르·분위기·길이를 설정하면 맞춤형 배경 음악을 생성해 주는 상용 서비스. 영상 제작자들이 자주 활용.Soundraw, Boomy, Mubert크리에이터나 유튜버..

AI를 이용한 그래픽 크리에이션: 창의와 창조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라구요?

1. 생산성과 창의성의 새로운 장과거 그래픽 창작은 전문 디자이너의 역량, 고가의 소프트웨어, 그리고 오랜 시간의 훈련을 필요로 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인공지능(AI)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그래픽 창작의 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기업이든 개인이든, AI 기반 도구를 활용하여 손쉽게 고품질의 시각 자료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업적 생산성 향상과 개인 창작의 민주화라는 두 가지 흐름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2. AI 그래픽 크리에이션의 원리와 주요 도구AI 그래픽 창작은 주로 딥러닝 기반의 생성 모델(예: GAN, Diffusion Model)을 활용한다. 텍스트 프롬프트 입력만으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기존 이미지를 변형·보정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도구로는 MidJo..

King's Quest 를 모른다고 ? 한국이 외면한 장르...

1. 탄생 배경과 역사적 맥락출시 시기: 《King’s Quest I: Quest for the Crown》은 1984년 IBM PCjr을 대표 타이틀로 기획되어 출시되었습니다.개발사: 당시 Sierra On-Line(현 Sierra Entertainment)이 제작, 켄 윌리엄스(Ken Williams)와 로버타 윌리엄스(Roberta Williams) 부부가 중심 역할을 했습니다.기술적 돌파구:그래픽 어드벤처의 시초로 꼽히며, 이전의 Zork 같은 텍스트 기반 어드벤처에서 그래픽과 텍스트 명령어 입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를 도입.EGA 그래픽(당시에는 혁신적이었던 컬러 표현), 사운드 효과, 화면 속 캐릭터 직접 조작 기능을 통해 기존의 정적인 인터페이스에서 **“살아있는 동화 세계”**라는 경험..

영원히 잊혀지지 않을 게임, 울티마

1. 울티마의 탄생배경📅 시기첫 작품인 Ultima I: The First Age of Darkness는 1981년 Apple II용으로 발매되었습니다.개발자는 리처드 개리엇(Richard Garriott), 게임 내에서 ‘로드 브리티시(Lord British)’라는 별칭을 사용.그 이전에 개리엇은 Akalabeth: World of Doom(1980)이라는 실험작을 만들었는데, 이 게임이 사실상 울티마의 프로토타입이었습니다.💻 Apple II 환경1MHz 6502 CPU, 48KB 메모리 환경에서 제작.당시 대부분의 RPG가 PLATO나 메인프레임, 혹은 TRS-80 같은 시스템에서 돌아가던 상황에서, 상업적 패키지로 가정용 PC RPG를 만든 대표적인 성공 사례였습니다.대부분 Apple BASIC..

위대한 동굴 탐험, Wizardry

1. 1970년대 말: 터미널 기반의 게임 실험에서 탄생당시 개인용 PC가 보급되기 전, 미국 대학 컴퓨터 센터에서는 메인프레임(Mainframe)이나 미니컴퓨터(Minicomputer)에 다수의 사용자가 텔레타입(Teletype) 터미널로 접속해 프로그램을 실행했습니다.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예: DEC VT100)도 등장했지만, 여전히 텍스트 기반 환경이 주류였죠.게임은 주로 BASIC, FORTRAN, PL/I 같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었고, 출력은 단색 문자·기호로 표현됐습니다.1970년대 초·중반, PLATO 등 대학/연구소의 터미널 시스템에서 던전 RPG pedit5(The Dungeon), dnd, Oubliette 같은 던전 크롤러가 실험·운영되었습니다.오랜 업데이트와 복잡한 시스템을 ..

1970년대의 온라인 게임. 동굴을 탐험한다

1. 터미널 RPG의 뿌리 — PLATO 시스템과 Oubliette1970년대 미국 대학들은 PLATO 시스템이나 PDP-10과 같은 메인프레임 기반 터미널 RPG를 즐겼습니다.이 당시 이미 존재했던 보드 게임을 터미널 컴퓨터에서 구현 하려는 노력은 여러 사람/단체들이 시도 해 왔었고, 완성도 높고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받은 몇몇의 게임이 등장하게 됩니다.특히 Oubliette (1977)는 여러 명이 동시에 플레이하는 멀티유저 던전 RPG였고, 15개 종족과 15개 직업, 던전, 상점, 도박장, 소환 시스템 등 많은 게임 메커니즘을 구현했습니다.이러한 게임들은 업데이트와 당시 의욕에 찬 개발자들에 의해 진화하여 PC 에서 혁명적인 게임 Wizardry 가 등장하게 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2. 대표적 게..

AI 기반 업무 자동화 플로우 만들기: 실전 예제 5가지- 시간은 줄이고 효율은 늘리는 자동화 전략

왜 업무 자동화가 필요한가?1인 기업의 가장 큰 자산은 ‘시간’입니다.하루 24시간 동안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콘텐츠를 만들고, 고객 응대하고, 마케팅을 운영해야 하는 상황에서 매번 수동으로 처리하는 업무는 곧 성장의 속도를 저해하는 장애물이 됩니다.AI와 자동화 도구가 발전한 지금은, 단순한 자동응답 수준을 넘어 고객 맞춤 콘텐츠 작성, 업무 보고서 정리, 반복적인 고객관리 업무까지 자동화가 가능합니다.그렇다면 실제 어떤 흐름으로 자동화가 가능할까요?자동화 플로우를 만들기 전에 필요한 기본 도구업무 자동화는 **각 도구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때 비로소 효과를 발휘합니다. 다음은 대부분의 자동화 플로우에서 활용되는 핵심 툴들입니다.도구 ..

혼자 일하는 시대의 디지털 파트너를 만드는 법 - AI 비서

서론: ‘나 홀로 경영자’ 시대의 돌파구과거의 창업은 ‘사람을 고용해야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인공지능(AI)**이라는 동반자의 등장으로 1인 기업도 기업다운 운영이 가능해진 시대입니다.특히, 단순 도구를 넘어서 업무 전반을 ‘유기적으로’ 지원해주는 AI 기반 비서 시스템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기반 인프라가 되어가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1인 창업가, 소규모 크리에이터, 자영업자들이 효율적으로 AI 비서를 구축하는 방법과 단계별 실행 전략을 소개합니다.1. AI 비서 시스템이란?단순한 챗봇이나 자동응답기가 아닙니다.AI 비서 시스템이란, 사용자의 업무 흐름에 맞춰 **정보를 정리하고, 요청을 예측하고, 반복되는 일을 자동화하며, 일정한 품질로 업무를 처리하는 ‘디지털 동료’*..

생성 AI ChatGPT, 소규모 사업장의 비서가 되다– 개인 및 소규모 기업에서의 실질적 활용 사례와 활용 전략

1. 왜 ChatGPT인가?인공지능(AI)은 더 이상 대기업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특히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개인 창작자, 자영업자, 1인 기업 등 소규모 사업자에게도 강력한 생산성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복잡한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자연어로 지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입장벽이 낮고, 텍스트 기반의 다양한 업무에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2. ChatGPT 활용 사례: 개인과 소기업 중심✅ 1인 창작자 (작가, 유튜버, 인플루언서)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영상 콘텐츠 주제, 책 제목, 블로그 글거리 등 제안스크립트/원고 초안 작성: 영상 대본, 인터뷰 질문, 강의노트 등 작성 시간 단축SNS 콘텐츠 제작: 해시태그 추천, 짧은 문구 요약, 타겟..

소규모 사업장이나 개인이 디자이너 없이 서비스 만들기– 노코드 & AI 도구 조합으로 만드는 스마트한 디지털 제품 개발 전략

1. 디자이너 없이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까?디지털 제품을 만들기 위해선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노코드(No-Code)와 AI 기반 도구의 발전으로 인해, 디자인 역량 없이도 완성도 높은 서비스를 직접 만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특히 소규모 스타트업, 1인 기업, 창업 초기 단계의 개인에게는 개발자나 디자이너를 고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이러한 도구의 활용은 매우 큰 경쟁력이 됩니다.2. 노코드 & AI 도구의 결합이 중요한 이유시간과 비용 절감: 별도의 개발자나 디자이너 없이 빠르게 MVP(최소 기능 제품)를 제작 가능아이디어 테스트 속도 향상: 반복적으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고객 반응을 실시간으로 반영기술 장벽 최소화: 비전공자도 ..